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49재 49제 제사 의미 계산 상차림 정리

by 모든정보픽 2022. 5. 14.
728x90
반응형

49재 49제 제사 의미 계산 상차림 정리

49재와 49제 제사 의미

49제라는 말이 익숙하지만 사실 옳은 표현은 49재입니다. 49재는 장례 의식의 한 가지로 고인이 영면에 들어간 후에 초재부터 한 주마다 7번씩 지내게 되는 재를 의미합니다. 여기서 49라는 숫자의 의미는 대승불교의 전승에서 나오게 된 것입니다. 상차림, 비용, 복장, 계산법 등의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죽은 사람의 영혼은 보통은 칠칠일(49일) 동안은 저승에 머무른 상태로 명부 시왕중 일곱 명의 대왕들에게 7일째 될 때마다 심판을 받다가 최종적으로 49일째에 심판을 받고 환생한고 해서 심판을 받게 되는 날에 맞추어서 49일 동안 일곱 번 재를 지내는 것입니다.

스님들이 절에서 제사를 지내고 있는 사진

 

49제 상차림 방법

49제 상차림 방법도 알아보겠습니다. 별달리 정해진 규칙이 있는 것은 아닌데 보통은 사찰에서 모시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집에서 모시는 것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집에서 49제 상차림 방법을 아래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제사상의 위치는 조용하고 밝은 곳에 위치시킵니다. 그리고 고인의 영정, 위패를 모시고 고인이 평소에 좋아하셨던 염주, 경전 등을 올려서 영단으로 삼습니다.

제사 상차림 사진

보통 49재 상차림은 탈상할 때까지 임종하신 지 7일째 되는 날의 아침마다 상식을 올립니다. 그와 함께 염불 기도를 드리게 되는데 제물의 밥과 국, 3색 나물, 그리고 3색 과실을 기본으로 올립니다. 그 외에 고인이 평소 즐겨하시던 음식을 올리면 됩니다.

 

참고로 탈상의 뜻을 알아보면 벗어날 탈, 상복 상 자를 사용합니다. 상복에서 벗어나다는 의미로 장례 절차가 마무리되었다는 뜻입니다. 또 용어를 살펴보면 제물이란 제사에 사용하는 음식, 과실은 열매 및 과일을 의미하며, 상식이란 상례에서 망자에게 밥을 한 끼 대접한다는 의미입니다.

절에서 제사를 지내고 있는 사진

매일 아침마다 상식을 올려주면 좋지만 여건이 되지 않는다면 간소하게 제물을 차리고 나서 상주가 차를 올리고 가족과 함께 3배를 하는 등 편리한 방식으로 정하시면 됩니다. 발원문의 경우에는 마지막 날이 되는 49일째 날에 사찰에 방문하셔서 부처님께 올린 후 기도하고 나서 위패와 함께 사찰의 소대에서 태우시면 됩니다.

 

최근에 49제 상차림, 제사상을 준비할 때 형식에 비중을 두기보다는 의미에 좀 더 치중하기 때문에 복어포, 삼색 과일 정도로 간편한 상차림을 하는 추세입니다. 고인이 생전에 좋아하던 음식을 올리는 것이 상당히 보편화되었으며 재를 49일째 날에만 올리는 경우도 많아졌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대략적으로 드는 비용은 아래에서 확인해주세요.

 

 

49제 비용

49제 비용은 딱히 정해진 바는 없습니다. 뭐든지 형편에 맞게 준비하는 것이 좋은데 만약에 초재부터 마지막 칠재를 모두 챙긴다고 하면 약 400만 원에서 800만 원까지도 소모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를 간소화하여 49제만 지낸다면 300만 원 이하로 가능하고 요즘 추세인 초재와 칠재만 준비한다면 약 350만 원 정도로 해결이 가능합니다.

 

검은색 정장 사진

 

49제 복장

49제 복장은 장례식 참석 복장과 같이 단정하고 깔끔하게 입으면 되는데 보통은 검은색 계열로 입는 것이 좋습니다. 정장도 자주 입는 편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넥타이와 구두 역시 검은색으로 준비하시면 되는데 넥타이는 단색이 좋고 화려한 색이나 무늬가 많은 것은 피하는 편이 좋습니다.

 

또 몸에 쫙 달라붙는 옷과 노출이 많은 옷은 피하는 것이 상식입니다. 여러 가지를 고려해 봤을 때 정장이 무난한 선택이라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제 모두가 헷갈려하시는 49제 계산 방법에 대해서 아래에서 알아보겠습니다.

 

 

49제 계산

49제 계산은 어렵게 생각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나 약간 혼동이 올 수 있는 부분으로는 고인이 돌아가신 날이 1일이 된다는 점입니다. 그날을 1일로 잡은 후에 다음 7일이 초재입니다. 이어서 7일마다 이재, 삼재, 사재, 오재, 육재, 칠 재가 됩니다. 당연히 칠 재가 49재가 된다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책 위에 염주가 있는 사진

7일마다 한 재가 늘어나니 7 * 7 = 49 이기 때문입니다. 49재를 49일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한데 다른 말로 7일마다 7번 제사를 지낸다고 칠칠재라고도 부르는 것입니다.

 

49재 계산기를 두드려 보면 2022년 5월 1일에 돌아가셨을 경우에 2022년 5월 7일이 초재가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14일이 이재, 21일이 삼재입니다. 이처럼 첫날만 포함시켜서 계산하고 나서는 7일마다 더해주시면 간단하게 날짜를 알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49재 49제 제사 의미 계산 상차림 정리 알아보았습니다. 준비 잘하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