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부 자녀 증여세 면제 한도액 증여세율

by 모든정보픽 2022. 5. 6.
728x90
반응형

부부 자녀 증여세 면제 한도액 증여세율

증여세

증여세의 정의 먼저 설명드려야 하겠습니다. 무상으로 양도하는 재산에 대해서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받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재산 소득이 생기기 때문에 이에 대한 신고를 해야 합니다. 관련하여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재산에는 부동산, 현금과 같은 유형 재산 외에도 무형 재산으로 속하는 각종 권리 등에도 포함됩니다. 그리고 증여세는 재산 등을 양도받게 되는 사람이 납부해야 하므로 잘 알아두셔야 합니다.

악보 사진

오늘 알아볼 증여세 면제 한도액은 본인과의 관계에 따라서 차이가 납니다. 부부 사이에 증여인지 자녀 사이에 증여인지, 인척 관계에 있는지, 또는 완전한 타인인지에 따라서 다르게 적용됩니다.

 

일단 재산 가치를 현금을 기준으로 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증여세 면제 한도액 알아본 후에 증여세 계산 방법을 예시로 알려드릴 테니 따라 해 보시면 쉽게 계산도 가능합니다.

 

마지막으로 증여세 신고 방법에 대해서도 알려드릴 테니 끝까지 따라오시면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돈이 말려져서 묶여있는 사진

증여세 면제 한도액

1) 부부 자녀 증여세 면제 한도액

관계 증여세 면제 한도액(10년 기준)
배우자 6억 원
자녀(직계 존속) 성인 : 5천만 원 / 미성년자 : 2천만 원
손자녀(직계 비속) 5천만 원
6촌 이내 및 4촌 이내 혈족, 인척 1천만 원
타인 N/A

배우자 사이에서도 10년간 누적 6억 원에 대한 증여세 면제 한도액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만약 이 사실을 잘 모른 상태로 무분별하게 금전이 오가게 될 경우에는 면제 한도액 초과 금액에 대해서는 증여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아래를 참고로 확인해주세요.

 

 

자녀의 경우에는 성인은 5천만 원 까지 이지만 미성년자는 2천만 원만 공제가 됩니다. 만약 자녀 주식 계좌 개설을 하고 대신 주식을 사 준다면 이는 증여로 간주되기 때문에 10년 동안 2천만 원의 주식을 사 주셨다면 나머지는 10년 기간 후에 매수해야 증여세를 피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와 돈을 주고있는 사진

추가로 중요한 점은 10년간 동일인에게 증여받은 재산 합산액에 적용되는 것입니다. 만약 미성년자 자녀가 아버지와 어머니에게 각각 1천만 원을 받았다면 이는 부부를 함께 계산하여 2천만 원을 받은 것으로 간주됩니다. 동일인 관계는 아버지와 어머니, 할아버지와 할머니 사이에서 성립합니다. 참고로 할아버지와 아버지는 동일인이 아닙니다.

 

직계 비속인 손자녀는 5천만 원, 그 외 혈족이나 인척은 1천만 원, 그리고 타인에게는 증여세 면제 한도가 없다는 점도 참고로 봐주시면 되겠습니다.

2) 증여세율

과세 표준 구간 세율 누진공제 금액
1억 원 이하 10% N/A
1억 원 초과 - 5억 원 이하 20% 1천만 원
5억 원 초과 - 10억 원 이하 30% 6천만 원
10억 원 초과 - 30억 원 이하 40% 1억 6천만 원
30억 원 초과 50% 4억 6천만 원

과세 표준 구간이 단위가 수 억에서 수십억 단위이기는 하지만 구간 세율이 상당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30억 원 초과하는 아파트를 증여할 경우에는 거의 50%에 달하는 세금이 부과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구간 세율이기 때문에 누진 공제 금액이 있습니다. 증여세 계산 방법은 아래에서 확인해 주시면 됩니다.

 

 

말이 나온 김에 위 증여세율 표를 참고하여 2억을 증여할 경우에 얼마의 증여세를 납부해야 하는지도 함께 알아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세금 서류 사진

증여세 계산 방법

A 씨는 성인 자녀에게 2억 원을 증여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증여세 면제 한도액 : 자녀 5천만 원

과세 표준 금액 : 2억 - 5천만 원 =1억 5천만 원

증여세 : 1억 5천만 원 x 20% - 1천만 원 = 2천만 원

 

증여세는 위 계산식과 같이 증여받은 재산에서 증여세 면제 한도액을 빼 준 과세 표준 금액에 구간 세율을 적용하고 누진 공제 금액을 빼 주시면 됩니다.

 

추가로, 증여세 자진신고를 하면 산출 세액에서 3%의 세액공제도 받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신고를 하지 않았다가 추후에 이 사실이 밝혀지게 되면 산출 세액에 20% 가산세가 적용되니 꼭 신고하셔야 합니다.

 

만약 신고를 하고 나서 납부를 하지 않았을 때에는 1일당 0.025%가 가산세로 붙게 되니 신고 후 납부까지 확실하게 하셔야 하겠습니다. 증여세 신고 방법은 아래를 참고해 주세요.

 

 

증여세 신고 방법

증여세 신고 방법은 증여 당일로부터 3개월 안에 관할 세무서에 방문하여 아래와 같은 서류를 제출하시면 됩니다.

1. 증여재산 및 평가 명세서

2. 자진 납부 계산서 및 증여세 과세표준 신고

3. 증여자 및 수증자 관계를 증명하는 가족관계 증명서

4. 채무를 부담해야 할 경우에는 채무를 입증하는 서류

공터에 주택이 있는 사진

이상으로 부부 자녀 증여세 면제 한도액 및 증여세율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세금 부분은 복잡하기 때문에 잘못하면 큰 가산세를 물게 될 수 있는 만큼 위에서 알려드린 내용들을 숙지하시고, 필요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